스테가노그래피는 그리스어로 “감추어져있다”라는 뜻인 “stegano“와 그리스어로 “쓰다, 그리다”라는 뜻인 “graphos“의 합성어로, “감추어쓰다”라는 의미이다.
사진, 음악, 동영상 등의 일반적인 파일 안에 데이터를 숨기는 기술이다. 쉽게 말해, 스테가노그래피는 이미지 파일이나, MP3 음악 파일에 기밀문서를 파일에 포함시킴으로 겉으로는 일반적인 이미지나 음악파일이지만, 특정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숨겨진 기밀문서가 보여지는 암호화방식이다. 안티포렌식 관점으로 개인정보 및 민감 데이터를 이미지나 음악 파일 속에 숨겨두면 찾지 못하고 지나칠 수 있다.
2001년 미국에서 발생한 911테러를 벌인 오사마 빈라덴은 성인이미지/영상, 모나리자 이미지를 통해 알 카에다 조직에게 테러 지령 메시지를 숨겨 발송한 사례가 있다.
사용 도구 : HxD, Audacity
실습 : 스테가노그래피 기법이 사용된 jpg 파일을 분석 한다.
[그림 1] image1.jpg
그림 파일이 .jpg 확장자로 되어 있는지 확인 하고자 HxD 에디터로 image1.jpg. 파일을 열어 본다
[그림 2] HxD 도구를 이용하여 열어본 image1.jpg 파일
HxD 에디터로 image1.jpg 파일을 확인 해 보니 파일 포멧이 .jpg가 아닌 .RIFF 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RIFF 란?
RIFF(Resource Interchange File Format, 리소스 교환 파일 형식)는 동영상 재생을 위해 마이크로소프트가 만든 내부 데이터 포맷이다. AVI는 이것을 응용한 것이다.
* WAV 란?
윈도우 미디어 오디오(Windows Media Audio, WMA)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미디어의 핵심이 되어 개발된 음성 코덱의 하나이다. 파일의 확장자는 .wma이고 여기에 영상이 들어간 것이 .wmv(윈도우 미디어 비디오)이다. 현재 최신 코덱 버전은 11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image1.jpg 파일을 속성에서 WAV 파일 포멧으로 변경 하여, 사진 파일에 어떤 데이터가 삽입 되어 있는지 음성 편집기인 audacity 도구를 이용하여 파일을 확인 한다.
[그림 3] imgae1.jpg 파일을 imgae1.WAV 파일로 변경하여 복원한 데이터
audacity 도구를 이용해 열어본 파일을 재상 해본 결과 재생 속도가 매우 빨라 배속을 0.25 설정 하였으나, 알아들을 수 없는 소리가 들린다. 음성을 통해 데이터를 숨기는 기법 중 백 마스킹 기법을 이용 했는지 의구심을 갖고 역방향 으로 설정하여 재생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백 마스킹이란?
정상적인 음성을 역방향으로 재생하여 원래의 음성을 듣지 못하게 방해하는 기법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그림 4] 역방향으로 설정한 imgae1.WAV 파일
imgae1.WAV 파일을 역방향으로 설정하여 0.25 속도로 재생한 결과 "THE PASSWORD IS ADRACADABRA" 라는 음성을 들을 수 있다.
첨부파일 : 음성파일(복구전, 복구후), image1.jpg 파일
'디지털포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포렌식_웹 브라우저(Internet Explore) 사용 흔적 분석 (0) | 2018.04.26 |
---|---|
디지털포렌식_FAT파일시스템 파티션복구 (0) | 2017.08.21 |
디지털포렌식_USB 흔적 조사 (0) | 2017.08.17 |
디지털포렌식_디지털포렌식의 정의 (0) | 2017.08.17 |